분류 전체보기 24

전라도 여행(5) - 나주곰탕

전라도 여행 5번째 포스트는 "나주곰탕"이다. 여행지인 나주가 아닌 나주곰탕인 이유는 정말로 나주곰탕만 먹으러 나주에 갔기 때문이다. 2007년 대학교 1학년을 다닐 때 학교에서 전라도로 답사를 간 적이 있는데 나주 답사를 할 때 나주곰탕을 먹었었다. 그때 먹었던 식당이 어디인지는 모르겠으나 정말로 너무너무 맛있어서 나의 인생 국밥이 됐었다. 그래도 나주목사 근처에서 먹었던 것으로 기억하여 지도를 검색해봤더니 정말로 그 근처가 나주곰탕 촌이었다. 그래서 진도를 빠져나와 무작정 나주목사로 향했다. 주차를 하고 "나주곰탕 노안집"이라는 식당으로 갔다. 굳이 택한 이유는 그냥 주차장이랑 가까워서... 노안이 노인의 얼굴을 말하는 건가 했더니 나주시에 "노안면"이라는 행정구역이 있고 그 동네를 뜻하는 것이었다...

일상/여행 2021.09.24

전라도 여행(4) - 진도

열심히 차를 몰아 진도에 도착했다. 직접 차를 몰고 와보니 정말 진도는 단단히 맘을 먹고 와야 하는 곳인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수도권에서 차를 타고 오면 최소한으로 쉬면서 와도 5시간은 기본이고, 가장 편하게 오는 방법은 무안공항으로 들어오는 건데, 무안에서도 렌트를 해서 국도를 타고 들어와야 한다. 바다를 건너 가장 먼저 반겨주는 곳이 진도휴게소이다. 보통 고속도로 휴게소가 아니면 시설이 노후된 곳이 많은데 진도휴게소는 시설도 괜찮고 향토 기념품도 팔아서 인상적이었다. 진도휴게소에서 또 약 20~30km를 더 가서 진도 남도진성이라는 곳에 도착했다. 사실 진도 하면 가장 유명한 건 진돗개이고, 이순신과 관련된 울돌목이 유명하다. 진도 남도진성은 정말 유적지에 관심 있는 사람이 아니면 오질 않는다. ..

일상/여행 2021.08.09

VSCode Extension - Tabnine

VSCode, 즉 Microsoft에서 만든 역대급 코드 에디터인 Visual Studito Code는 Extension으로 완성된다. 나의 개발환경에 맞는 Extension을 설치하다 보면 이게 코드 에디터인지 IDE인지 분간되지 않을 정도이다. 더군다나 인터프리팅 언어인 Javascript를 주 언어로 하는 나로서는 IDE를 쓰나 Extension으로 커스텀 된 VSCode를 쓰나 별 다를 게 없을 정도이다. 나름 대학생이라 젯브레인의 모든 개발 툴들을 공짜로 이용 중이고 IntelliJ나 WebStorm을 쓸 수도 있고 실제 설치해서 맛보기는 해봤지만 그냥 VSCode를 쓴다. 그중 가장 흥미로웠던 Extension인 Tabnine을 소개한다. Tabnine은 AI 기반으로 나의 코드와 남의 코드를..

전라도 여행(3) - 이서휴게소

익산 미륵사지를 출발해 진도로 향했다. 분명히 전라북도와 전라남도는 광역 행정구역도 다르고 익산과 진도는 거리상으로도 꽤 되는 거리이지만 타지인 입장에서는 다 같은 전라도니까라는 오류를 범했다. 전라북도와 전라남도는 멀고도 험했다. 고속도로를 타고 광주를 거쳐 또 갈아타고 목포까지 가서 국도를 타고 한참을 가야 진도가 나왔다. 중간에 이서 휴게소라는 곳을 들러서 점심을 먹었는데 꽤 흥미로운 기계가 있었다. 서빙 로봇이라고 이놈이 계속 돌아다닌다. 나름 센서를 가지고 움직여서 사람하고 충돌은 나지 않는 것 같은데... 사실상 서빙은 하지 않고 사람들이 밥을 다 먹고 퇴식 쟁반을 올려놓는 용도로 쓰고 있었다. 여느 휴게소가 그렇듯이 내 번호가 불리면 가서 가져오는 것이 서로 편하다. 그런데 퇴식 쟁반을 올려..

일상/여행 2021.08.05

전라도 여행(2) - 익산 미륵사지

전라도 여행의 첫 번째 행선지는 익산 미륵사지였다. 익산 미륵사지는 "사실상" 백제의 4번째 도읍이라고 하지만 역사 기록상으로는 확실히 파악하기가 어렵다. 하지만 고고학적으로는 도읍이나 다름없다는 것이 정설로 알고 있다. 우리나라 고대사를 살펴보면 이와 같은 사례가 적지 않다. 즉, 역사 기록엔 별 것 없는데 막상 고고학적으로는 역사 기록에 잘 남아있는 다른 문화와 별반 다르지 않거나 오히려 더 융성한 문화인 곳 말이다. 대표적으로 전라남도 영산강 유역 문화가 그렇고, 낙동강 유역 가야 문화가 그렇다. 이처럼 우리나라 고대사는 대부분 삼국사기, 혹은 중국의 삼국지에 있는 기록들이 사실상 전부인데, 삼국사기의 경우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의 이야기가 중심이고, 삼국지는 이들이 고대국가로 발전하기 전에 있..

일상/여행 2021.08.03

전라도 여행(1) - 프롤로그

지금은 웹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잘 살고 있지만 원래 학부 전공은 고고학, 중퇴하긴 했지만 석사과정 전공은 문화재정책학이었다. 어찌어찌 흘러 흘러 이쪽 길로 들어서긴 했지만 나는 여전히 문화재를 좋아하고 인터넷 기사에 관련 내용이 뜨면 자연스레 클릭하는 편이다. 아직도 꿈은 문화재와 연관된 무언가의 IT서비스를 직접 기획하고 개발하는 것이다. 그렇다고 우리나라의 문화유산, 역사문화, 전통문화 같은게 너무 좋고 위대하게 생각하고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그런 건 썩 좋아하지 않는다. 한때 그런 생각도 하긴 했지만 공부를 하면 할수록 국가적 혹은 감성적인 관점보다는 학술적으로 바뀌었고, 문화유산 답사나 박물관 같은 곳에 가도 조상들의 위대함을 느낀다기보단 그냥 그 유산 자체를 보고 그것들을 남긴 자들에 대해 상상을..

일상/여행 2021.07.26

웹 프론트엔드 개발자의 M1 MacBook Pro (16GB RAM, 1TB SSD) 사용 후기 (+ Caldigit TS3 Plus 썬더볼트 3 독, 리뷰안 UX 550 1TB 휴대용 SSD)

맥북 에어 후기는 지난 포스트를 참고 바란다. 웹 개발자의 M1 MacBook Air 기본형 사용 후기 2021년 3월 26일에 그 유명한 M1 맥북에어를 배송받았다. 나름 대학생이라 학생 할인을 받아서 116만원에 구매하고, 선물로 받은 에어팟2 유선은 당근에 팔았다. 어차피 업무용으로 쓸게 아니고 개 think-dev.tistory.com 일단 지난 포스트는 개인 노트북이고 이번에 포스팅하는 후기는 회사용 노트북이다. 지난 5월 중순에 새로운 회사에 입사했고, 오픈마켓에서 약 250만 원 정도 하는 M1 MacBook Pro를 지급받았다. 옵션으로는 16GB RAM과 1TB SSD로 개인용보다는 가격도 비싸고 성능도 좋다. 회사를 다니기 시작하면서 기존 개인용인 맥북 에어는 웹서핑, VSCode에서의..

리뷰/전자제품 2021.07.25

tsconfig의 baseUrl, paths 설정

개발을 하다 보면 직접 만든 utils 또는 프론트엔드의 경우 components 폴더, styles 폴더 등 현재 작업 파일과 다른 경로의 파일들을 import 시켜야 할 때가 있다. import 시킬 필요가 없는 파일은 아주 단순한 스크립트이거나 온갖 로직을 하나의 파일에 다 작성할 때인데 별로 좋지 않은 패턴이다. 그래서 파일의 상단에는 다음과 같은 현상이 일어난다. import styled from 'styled-components'; import { TextField } from '../../components/textfield'; ... line 1과 line2가 import 방식이 조금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line 1의 styled의 경우 styled-components라는 npm 패키..

Mac에서 Open JDK 설치

Java와 Kotlin 관련 내용은 나중에 Spring으로 백엔드를 구현할 때 포스팅하려 했는데, Private NPM을 위한 Nexus를 설치하려다가 JDK 설치 이슈를 만나서 이렇게 먼저 포스팅하게 됐다. 보통 Oracle의 JDK를 많이 쓰곤 하는데, 일반 유저 입장에서 JDK로 만들어진 프로그램을 돌리려고 Oracle JDK, JVM을 설치하는 것은 전혀 문제가 없지만 JDK 기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입장에서는 라이선스 이슈가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다. 물론 개인 프로젝트나 회사에서 내부적으로만 쓰는 거면 별 상관이 없다고는 하지만 뭔가 불안하다. 그래서 Open JDK를 많이들 설치하곤 한다. 나도 Open JDK를 설치하려고 이것저것 찾아보았는데 잘 되지 않았다. 일단 Home brew 설치가..

node.js 및 npm 버전 업데이트

실무에서는 레거시 프로젝트도 있어서 node 버전 관리 프로그램을 따로 쓰기도 하지만 개인 컴퓨터는 굳이 그럴 필요까진 없고 그냥 LTS 버전만 써도 별 문제가 없다. 근데 LTS버전도 아예 새롭게 바뀌는 경우도 있고 마이너 업데이트가 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개인 컴퓨터에서도 가끔은 업데이트를 해주는 게 좋다. 참고로 내 개인 컴퓨터 환경은 macOS Big Sur 11.3, M1 칩셋이며 이 환경에서 진행을 했다. $ node -v $ npm -v 버전을 찍어보니 node는 14.16.0, npm은 7.10.0이었다. 다운로드 | Node.js Node.js® is a JavaScript runtime built on Chrome's V8 JavaScript engine. nodejs.org nod..